등급 (천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등급(천문학)은 천체의 밝기를 나타내는 척도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시작되어 현대에 이르기까지 발전해 왔다. 히파르코스는 별의 밝기를 1등성에서 6등성으로 분류하는 체계를 고안했으며, 19세기에는 윌리엄 허셜과 존 허셜 부자가 등급과 밝기의 관계를 밝혀냈다. 1856년 노먼 포그슨은 등급 간의 밝기 차이를 2.512배로 정의하여 현대적인 등급 시스템의 기초를 마련했다. 현재는 겉보기 등급, 절대 등급, 사진 등급 등 다양한 종류의 등급이 사용되며, 측광 시스템을 통해 천체의 밝기를 정밀하게 측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문학의 단위 - 광초
광초는 빛이 1초 동안 진공에서 이동하는 거리로, 통신 분야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 제한 요소 및 통신 지연 시간 계산에 활용되며, 천문학에서는 천체 간 거리 측정에 유용하고, 광분, 광시, 광일, 광주, 광년 등의 배수 단위로 확장되어 사용된다. - 천문학의 단위 - 광년
광년은 빛이 진공 상태에서 1 율리우스년 동안 이동하는 거리로, 약 9.46×10^15 미터에 해당하며 천문학에서 항성, 은하, 은하단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길이 단위이다. - 관측천문학 - 천정
천정은 관측자의 머리 바로 위 천구상의 점으로, 천정각 측정의 기준 방향으로 사용되며, 태양의 위치, 기블라 관측, 천정 망원경, 천체항해, 그리고 지심 천정과 측지 천정의 구분에 활용된다. - 관측천문학 - 달의 위상
달의 위상은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과의 상대적 위치 변화에 따라 삭, 상현달, 망, 하현달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약 29.5일의 주기로 변화하고 달력, 전통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천문학에 관한 - 자외선
자외선은 요한 빌헬름 리터가 발견한 보이지 않는 광선으로, 인체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미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오존층 감소로 인해 자외선 지수가 증가하여 주의가 요구된다. - 천문학에 관한 - 적외선
적외선은 윌리엄 허셜에 의해 발견된 780 nm에서 1 mm 파장 범위의 전자기파로, 근적외선, 중적외선, 원적외선으로 나뉘며 군사, 의료, 산업, 과학,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등급 (천문학) | |
---|---|
천문학적 등급 | |
정의 | 천체의 밝기를 나타내는 로그 척도 |
기원 | 고대 그리스 |
창시자 | 히파르코스 |
특징 | 등급이 작을수록 밝음 등급이 1 감소할 때마다 밝기는 약 2.512배 증가 5등급 차이는 밝기 100배 차이 |
공식 | m = -2.5 log₁₀(F/F₀) |
설명 | m: 등급 F: 천체의 복사속 F₀: 등급의 기준이 되는 복사속 |
겉보기 등급 | |
정의 | 지구에서 보이는 천체의 밝기 |
기호 | m |
태양 | -26.74 |
보름달 | -12.9 |
금성 (최대 밝기) | -4.9 |
화성 (최대 밝기) | -2.91 |
목성 (최대 밝기) | -2.94 |
시리우스 | -1.46 |
베가 | 0.03 |
천왕성 (최대 밝기) | 5.32 |
해왕성 (최대 밝기) | 7.78 |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희미한 별 | 6.5 |
절대 등급 | |
정의 | 천체를 10 파섹(약 32.6 광년) 거리에 놓았을 때의 밝기 |
기호 | M |
태양 | 4.83 |
등급 차이와 밝기 비 | |
1등급 차이 | 약 2.512배 |
2등급 차이 | 약 6.31배 |
3등급 차이 | 약 15.85배 |
4등급 차이 | 약 39.81배 |
5등급 차이 | 100배 |
공식 | 밝기 비 = 2.512^(등급 차이) |
역사 | |
히파르코스 | 별의 밝기를 6등급으로 나눔 (가장 밝은 별은 1등급, 가장 어두운 별은 6등급) |
프톨레마이오스 | 히파르코스의 등급 체계를 계승 |
포그슨 | 1856년, 5등급 차이가 밝기 100배 차이라는 것을 정량화함 |
참고 | |
볼턴의 공식 | m₂ - m₁ = -2.5 log₁₀ (L₂ / L₁) |
설명 | m₁ 과 m₂는 별 1과 별 2의 등급 L₁ 과 L₂는 별 1과 별 2의 밝기 |
2. 역사
그리스 천문학자 히파르코스는 기원전 2세기에 별의 겉보기 밝기를 기록한 목록을 만들었다. 서기 2세기에는 알렉산드리아의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가 별을 6등급 척도로 분류하고, 등급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2] 맨눈으로 볼 때, 시리우스나 아크투루스와 같이 더 밝은 별은 미자르와 같이 덜 밝은 별보다 더 크게 보이며, 이는 다시 알코르와 같이 정말 희미한 별보다 더 크게 보였다.
별이 밝을수록 등급이 작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밝은 "1등급" 별은 "1급" 별인 반면, 맨눈으로 거의 보이지 않는 별은 "6등급" 또는 "6급"이다. 이 시스템은 별의 밝기를 여섯 개의 별개의 그룹으로 단순하게 구분했지만, 그룹 내 밝기의 변화는 고려하지 않았다.
1736년, 수학자 존 케일은 고대 육안 등급 시스템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Fixed Stars appear of different Bignesses, not because they really are so, but because they are not all equally distant from us.영어
{{llang|en|Those that are nearest will excel in Lustre and Bigness; the more remote Stars will give a fainter Light, and appear smaller to the Eye. Hence arise the Distribution of Stars, according to their Order and Dignity, into Classes; the first Class containing those which are nearest to us, are called Stars of the first Magnitude; those that are next to them, are Stars of the second Magnitude ... and so forth, 'till we come to the Stars of the sixth Magnitude, which comprehend the smallest Stars that can be discerned with the bare Eye. For all the other Stars, which are only seen by the Help of a Telescope, and which are called Telescopical, are not reckoned among these six Orders. Altho' the Distinction of Stars into six Degrees of Magnitude is commonly received by Astronomers; yet we are not to judge, that every particular Star is exactly to be ranked according to a certain Bigness, which is one of the Six; but rather in Reality there are almost as many Orders of Stars, as there are Stars, few of them being exactly of the same Bigness and Lustre. And even among those Stars which are reckoned of the brightest Class, there appears a Variety of Magnitude; for Sirius or Arcturus are each of them brighter than Aldebaran or the
2. 1. 고대 ~ 근대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히파르코스는 항성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당시에는 밝기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없었기에, 가장 밝은 항성을 1등성, 육안으로 겨우 보이는 어두운 별을 6등성으로 하여 6단계로 나누었다. 이후 프톨레마이오스는 저서 『알마게스트』에서 이 방법을 채택하여 널리 사용하였다. 이때 등급은 1.2등과 같이 소수점 이하의 세밀한 단계 구분은 없었다. 16세기에 천체 망원경이 발명되면서 6등성보다 어두운 항성을 관측할 수 있게 되었다. 6등성보다 어두운 별은 7등성, 8등성 등으로 구분되었지만, 그 기준은 천문학자마다 달랐다.2. 2. 현대
1856년, 영국의 천문학자 노먼 포그슨은 1등급 차이가 약 2.512배 밝기 차이에 해당하며, 5등급 차이는 정확히 100배 밝기 차이가 나도록 등급을 정의했다.[8][9] 이는 5등급 간의 밝기 차이가 정확히 100배가 되도록 하는 로그 척도를 채택한 결과였다. 이에 따라 각 등급 간의 밝기 차이는 배, 즉 약 2.512배가 되었다.이 로그 척도를 사용하면서, 1등급보다 더 밝은 별을 표현하기 위해 0등급이나 음수 등급도 사용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아크투루스나 베가는 0등급, 시리우스는 -1.46등급으로 표현된다.
현대 등급 시스템은 별의 겉보기 크기가 아닌 밝기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와트/제곱미터(W m−2) 단위로 측정되는 두 물체의 플럭스(단위 면적당 에너지)를 각각 , 라 하고, 각 물체의 등급을 , 라고 할 때, 이들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이 공식을 통해 등급 척도는 고대 등급 1–6 범위를 넘어 확장될 수 있었고, 단순한 분류 체계가 아닌 밝기의 정확한 척도가 되었다. 현대의 천문학자들은 100분의 1 등급만큼 작은 차이도 측정한다. 예를 들어, 시리우스는 -1.46등급, 아크투루스는 -0.04등급, 알데바란은 0.85등급, 스피카는 1.04등급, 프로키온은 0.34등급이다. 고대 등급 체계에서는 이 모든 별이 "1등급 별"로 분류되었을 것이다.
등급은 별보다 훨씬 밝은 태양과 달이나, 육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희미한 명왕성과 같은 천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
3. 정의
히파르코스가 기원전 2세기에 별의 겉보기 밝기를 기록한 목록을 만든 이후, 프톨레마이오스가 서기 2세기에 별을 6등급으로 분류하고 등급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2] 이 시스템은 별의 밝기를 6개의 그룹으로 나누었지만, 그룹 내 밝기 변화는 고려하지 않았다.
19세기 중반, 천문학자들은 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별이 매우 멀리 떨어져 점광원으로 보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빛의 회절과 천문 시상을 이해하면서 별의 겉보기 크기가 실제 크기가 아니며 빛의 강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856년 노먼 포그슨은 1등급 별이 6등급 별보다 약 100배 더 밝다는 초기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등급 간 ≈ 2.512의 로그 척도를 제안했다.[8][9] 즉, 5등급 차이는 밝기에서 정확히 100배 차이가 나며, 1등급 간격은 약 2.512배의 밝기 변화를 의미한다.
현대 등급 시스템은 별의 겉보기 크기가 아닌 밝기를 측정하며, 로그 척도를 사용하여 "1등급"보다 더 밝은 별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투루스나 베가는 0등급, 시리우스는 -1.46등급이다. 등급은 숫자가 작을수록 밝고, 클수록 어둡다.
"2등성"은 겉보기 등급 (m)이 1.5 ≦ m < 2.5 범위에 있는 별을 의미한다. "1등성"은 0.5 ≦ m < 1.5인 항성뿐만 아니라 0.5등급보다 밝은 항성도 포함한다.
5등급이 작아지면 밝기가 100배가 되고, 1등급 차이는 ≒ 2.512배에 해당한다. 천체의 등급(magnitude)을 m, 밝기(광도, luminosity)를 l이라고 할 때,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이 식은 포그슨의 이름을 따서 ''''포그슨의 식''''이라고 불린다.
3. 1. 척도
별이 밝을수록 등급은 작아진다. 밝은 "1등급" 별은 "1급" 별인 반면, 맨눈으로 거의 보이지 않는 별은 "6등급" 또는 "6급"이다.[2] 예를 들어, 1등성은 2등성보다 약 2.512배 밝고, 6등성은 1등성보다 100배 어둡다.이 시스템은 별의 밝기를 여섯 개의 별개의 그룹으로 단순하게 구분했지만, 그룹 내 밝기의 변화는 고려하지 않았다. 19세기 중반, 천문학자들은 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별이 매우 멀리 떨어져 있어 점광원으로 보인다는 것을 이해했다. 빛의 회절과 천문 시상에 대한 이해가 발전하면서, 별의 겉보기 크기는 실제 크기가 아니며 빛의 강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856년 노먼 포그슨은 등급 사이의 ≈ 2.512의 로그 척도를 제안했다. 따라서 5등급 단계는 밝기에서 정확히 100배 차이가 난다.[8][9] 한 등급 간격은 밝기가 약 2.512배 변하는 것과 같다. 예를 들어 1등급 별은 2등급 별보다 약 2.5배, 3등급 별보다 약 2.52배, 4등급 별보다 약 2.53배 더 밝다.
현대 등급 시스템은 별의 겉보기 크기가 아닌 밝기를 측정한다. 이 로그 척도를 사용하면 별이 "1등급"보다 더 밝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투루스나 베가는 0등급이고 시리우스는 -1.46등급이다.
등급은 숫자가 작을수록 더 밝은 천체를 의미하며, 숫자가 클수록 더 어두운 천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겉보기 등급 (m)이 1.5 ≦ m < 2.5의 범위에 있으면 "2등성"으로 표기한다. "1등성"이라는 표기는 겉보기 밝기가 0.5 ≦ m < 1.5인 항성뿐만 아니라, 0.5등급보다 밝은 항성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3. 2. 포그슨의 식
노먼 포그슨이 1856년에 제안한 식에 따르면, 두 천체의 등급 차이()는 밝기(/)의 로그 값에 -2.5를 곱한 값으로 표현된다.[8][9]:
이 식은 노먼 포그슨의 이름을 따 ''''포그슨의 식''''이라고 불린다.
포그슨의 식에서 등급의 원점(0등급)과 그 밝기를 정하면, 등급을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₂를 0으로, l₂를 0등급에서의 광도 l₀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
이 식을 통해 m₁의 등급을 구할 수 있다.
과거에는 천체의 밝기를 육안이나 사진으로 측정했지만, 20세기 중반 이후 광전자 증배관이나 CCD 이미지 센서와 같은 광전 효과를 이용한 관측 기기를 통해 복사 플럭스 밀도를 측정하여 밝기를 구한다.
3. 3. 측광 시스템
천체의 밝기를 측정하는 것을 '''측광'''이라고 부른다. 측광 시스템은 측정하는 파장대, 필터의 투과 특성, 표준성 등이 정의된 체계이다.[15] 20세기 중반 이후에는, 1953년에 존슨과 모건이 제창한 U(파장 360 nm 부근), B(파장 440 nm 부근), V(파장 550 nm 부근)의 3개의 파장에 의한 존슨의 UBV 시스템을 기반으로, 이를 카즌즈가 적외선~근적외선으로 확장한 R, I와 장파장 측으로 J, K, L, M, N의 5개의 파장을 확장한 것이 표준적으로 이용되고 있다.표준화된 측광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천체의 밝기 비교뿐만 아니라, 같은 천체의 서로 다른 파장대에서의 밝기를 비교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파장대로 측광된 등급의 차이는 색지수라고 불리며, 그 천체의 표면 온도 등의 특징을 나타낸다.
측광은 관측값의 천후나 기후와 같은 외적 요인뿐만 아니라, 검출기의 차이나, 유리의 투과율, 거울의 반사율 등 기재의 특성으로부터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단순히 표준 측광 시스템과 같은 필터를 사용해도 같은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15] 그 때문에, 최초의 측광 표준성이 색 보정 없이 재현할 수 있는 이상적인 투과 특성이 고안되어 있으며, 그에 맞춰 필터가 제작되고 있다.[15]
3. 4. 등급의 원점 (영점)
모든 등급 시스템은 0등급의 밝기를 정의하기 위해 보정되어야 한다. 존슨 UBV 시스템과 같은 많은 등급 시스템은, 정의에 의해, 여러 별들의 평균 밝기를 특정 숫자로 할당하며, 다른 모든 등급 측정은 해당 기준점에 비교된다.[15]등급의 원점(영점)을 무엇으로 정할지는 시대에 따라 변천해 왔다. 과거에는 북극성이나 작은곰자리 λ별이 기준이 된 적도 있었지만, 21세기 초에는 '''베가 등급'''과 '''AB 등급'''의 두 종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베가 등급은 베가의 스펙트럼 에너지 분포(SED)를 원점으로 하여 각 파장대에서의 등급을 정하는 방식이다. 베가의 겉보기 등급은 0등급과 정확히 같지는 않지만, 1950년대 당시 가장 SED가 자세히 알려져 있었고 대기 모델 연구도 진행되었기 때문에, 베가의 SED를 기준으로 각 파장에서의 등급을 구하는 것으로 정해졌다.
베가 등급은 관측 장비나 지구 대기의 상태 차이 등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운 반면, 파장의 차이에 따라 기준이 되는 밝기가 다르기 때문에, 다른 파장 간의 절대적인 밝기 비교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AB 등급이다. AB 등급은 모든 주파수의 전자기파에서 0등급에 해당하는 복사 플럭스 밀도를 3631Jy로 정했다.[17] 이 값은 파장 548.0 nm에서의 베가의 복사 플럭스 밀도 3530Jy를 0.03등급으로 하여 계산되었으며, 베가 등급과는 파장이 548.0 nm일 때 일치한다.
어떤 파장에서의 복사 플럭스 밀도 ''f''ν (단위 erg-1cm-2Hz-1)인 천체의 AB 등급은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 ''m''AB = -2.5log10''f''ν - 48.60
허블 우주 망원경에서 사용되는 STMag도 AB 등급과 비슷한 개념이지만, 주파수가 아닌 파장으로 ''f''λ = 3.63×10-9ergcm-2s-1Å-1로 정의된다. STMag는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 ''m''ST = -2.5log10''f''λ - 21.10
4. 등급의 종류
등급은 관측 방법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명칭 | 영문 명칭 | 약호 | 설명 |
---|---|---|---|
겉보기 등급 | apparent magnitude | 특정 장소(주로 지구)에서 측정된 천체의 등급. 특히 언급이 없으면 V 밴드(파장 550 nm 부근)에서의 등급(V 등급)을 나타낸다. | |
절대 등급 | absolute magnitude | 10 파섹 (pc) 거리에서 본 등급. 특히 언급이 없으면 V 등급을 나타낸다. | |
실시 등급 | visual magnitude | 사람의 육안으로 관측하여 얻은 겉보기 등급. 최근에는 V 밴드에서의 겉보기 등급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 |
실시 절대 등급 | absolute visual magnitude | 실시 등급을 정의한 밴드에서의 절대 등급 | |
사진 등급 | photographic magnitude | 육안보다 근자외선에서 청색 영역에 감도가 높은 사진 촬영으로 판정된 등급 | |
사진 실시 등급 | photovisual magnitude | 황색 필터로 보정을 거친 촬영으로 얻은 실시 등급 | |
복사 등급 | bolometric magnitude | 복사 등급이라고도 한다. 별의 총 복사 에너지에 해당하는 등급. | |
겉보기 복사 등급 | apparent bolometric magnitude | 별의 총 복사 에너지에 해당하는 겉보기 등급. | |
절대 복사 등급 | absolute bolometric magnitude | 별의 총 복사 에너지에 해당하는 절대 등급 |
이처럼 등급은 관측자와의 거리에 관련된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 측정에 사용된 파장에 관련된 사진 등급이나 실시 등급, 그리고 전 파장의 총 에너지량을 반영한 복사 등급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등성"이라고 표현할 때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V 밴드(파장 550 nm 부근)에서 측정한 겉보기 등급을 기준으로 한다.
4. 1.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
천문학에서 등급은 크게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으로 나뉜다. 겉보기 등급은 지구에서 관측되는 천체의 밝기를 나타내는 반면, 절대 등급은 천체가 10파섹(약 32.6광년) 거리에 있다고 가정했을 때의 밝기를 나타낸다.베텔게우스(겉보기 등급 0.5, 절대 등급 -5.8)는 알파 센타우리 A(겉보기 등급 0.0, 절대 등급 4.4)보다 하늘에서 약간 더 어둡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베텔게우스가 훨씬 더 많은 빛을 방출한다. 이는 베텔게우스가 훨씬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겉보기 등급()은 직접 측정할 수 있으며, 절대 등급()은 겉보기 등급과 거리()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빛의 세기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
여기서 는 파섹 단위로 측정된 별까지의 거리이다. 이 식에서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의 차이( - )는 거리 지수라고 불린다.
만약 천체와 관측자 사이에 성간 먼지 입자가 존재하여 빛의 흡수(소광)가 발생하면, 천체의 겉보기 등급은 더 어두워진다. 소광의 등급()을 고려하면,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별의 절대 등급은 일반적으로 대문자 M에 하첨자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어, MV는 V 광대역에서 10 파섹 떨어진 곳에서의 등급을 의미한다. 볼로미터 등급(Mbol)은 모든 파장에서의 복사를 고려하여 조정한 절대 등급으로, 매우 뜨겁거나 차가운 천체의 경우 특정 광대역에서의 절대 등급보다 작다(즉, 더 밝다).
명칭 | 영문명칭 | 약호 | 설명 |
---|---|---|---|
겉보기 등급 | apparent magnitude | m | 특정 장소(주로 지구)에서 측정된 천체의 등급. V 밴드(파장 550 nm 부근)에서의 등급(V 등급)을 나타낸다. |
절대 등급 | absolute magnitude | M | 10 파섹 (pc) 거리에서 본 등급. V 등급을 나타낸다. |
실시 등급 | visual magnitude | mv | 사람의 육안으로 관측하여 얻은 겉보기 등급. V 밴드에서의 겉보기 등급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
실시 절대 등급 | absolute visual magnitude | Mv | 실시 등급을 정의한 밴드에서의 절대 등급. |
사진 등급 | photographic magnitude | mpg | 육안보다 근자외선에서 청색 영역에 감도가 높은 사진 촬영으로 판정된 등급. |
사진 실시 등급 | photovisual magnitude | mpv | 황색 필터로 보정을 거친 촬영으로 얻은 실시 등급. |
복사 등급 | bolometric magnitude | mBol | 별의 총 복사 에너지에 해당하는 등급. |
겉보기 복사 등급 | apparent bolometric magnitude | mBol | 별의 총 복사 에너지에 해당하는 겉보기 등급. |
절대 복사 등급 | absolute bolometric magnitude | MBol | 별의 총 복사 에너지에 해당하는 절대 등급. |
등급에는 관측자로부터의 거리에 관련된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 측정에 사용된 파장에 관련된 사진 등급이나 실시 등급, 그리고 전 파장의 총 에너지량을 반영한 복사 등급 등이 있다.
천체의 밝기는 관측에 사용되는 파장 영역에 따라 다르다. UBV 시스템에서는 U 밴드(파장 350 nm 전후), B 밴드(파장 440 nm 전후), V 밴드의 등급이 주로 사용되며, 각각 U 등급, B 등급, V 등급이라고 불린다. 별에 대해 "~등성"이라고 하는 경우, V 밴드에서의 겉보기 등급으로 구분된 것이다.
지구로부터 d 파섹의 거리에 있는 천체의 겉보기 등급 과 절대 등급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
4. 1. 1. 태양계 내 천체의 절대 등급
태양계 천체의 절대 등급은 종종 1 AU의 거리를 기준으로 인용되며, 대문자 H 기호로 나타낸다.[10] 이러한 천체들은 주로 태양으로부터 반사된 빛에 의해 빛나기 때문에, H 등급은 태양으로부터 1 AU, 관측자로부터 1 AU 떨어진 곳에서의 천체의 겉보기 등급으로 정의된다.[10]태양계 내의 행성, 소행성, 혜성 등의 천체는 스스로 빛을 내는 것이 아니라, 태양 빛을 반사하여 빛나기 때문에, 그 밝기는 지구뿐만 아니라 태양으로부터의 거리에도 의존한다. 따라서, 이러한 천체의 절대 등급은 "태양 및 지구로부터 1 천문단위(AU) 거리에 있으며, 위상각(태양 - 천체 - 관측자가 이루는 각)이 0도라고 가정한 V등급"이라는, 태양계 외 천체와는 전혀 다른 정의가 내려져 있다.
4. 2. 실시 등급과 사진 등급
실시 등급(visual magnitude|비주얼 매그니튜드영어)은 사람의 눈으로 관측하여 얻은 겉보기 등급이다. 최근에는 V 밴드에서의 겉보기 등급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사진 등급(photographic magnitude|포토그래픽 매그니튜드영어)은 육안보다 근자외선에서 청색 영역에 감도가 높은 사진 촬영으로 판정된 등급이다.19세기 이후, 천체가 사진에 찍히게 되면서, 사람의 눈과 사진 건판의 밝기 감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사진은 푸른색에 더 강하게 감광하지만 노란색에는 감광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진으로부터 등급을 측정하면 육안으로 관측해서 구한 등급과 달라지게 된다. 이 때문에, 육안 관측으로 얻어진 등급을 실시 등급, 사진으로 판정된 등급을 사진 등급이라고 불러 구별하게 되었다.
이후 실시 등급도 노란색 필터로 보정을 거친 촬영으로 판정하게 되었으며, 사진 실시 등급(photovisual magnitude|포토비주얼 매그니튜드영어)이라고 불렸다. 20세기 중반부터는 광전 측광기나 냉각 CCD 카메라 등의 전기적인 측광 수단에 의해 별의 밝기가 측정되게 되었고, 21세기 현재는 어느 것도 사용되지 않는다.
4. 3. 복사 등급
복사 등급(Bolometric magnitude)은 천체가 방출하는 모든 파장의 에너지를 고려한 등급이다. 전 파장에 걸쳐 밝기를 적산하여 정한 등급으로, V등급과 복사 등급의 차이는 복사 보정(Bolometric correction, B.C.)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복사 보정 값은 F3형 별에서 B.C. = 0으로 정의되며, 이 외의 스펙트럼형에서는 항상 음의 값을 가진다.
10파섹 거리에서 보았을 때의 복사 등급을 절대 복사 등급이라고 한다. 태양의 절대 복사 등급은 +4.74등급이라는 값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별이 단위 시간에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의 총합을 광도(luminosity, L)라고 하며, 광도, 태양 광도와 절대 복사 등급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
2015년 8월 제29회 국제천문연맹(IAU) 총회 결의 B2에서, 복사 등급은 다음과 같이 새롭게 정의되었다.
- = 0인 복사원 광도 을 정확하게 = 3.0128 × 1028 W로 정함으로써, 광도 인 천체의 절대 복사 등급은 다음 식으로 구할 수 있다.
:
절대 복사 등급의 영점은 태양의 절대 복사 등급으로 널리 받아들여지는 = 4.74일 때, 같은 결의 B3에서 정해진 공칭 태양 광도 (nominal solar luminosity) = 3.828 × 1026 W와 거의 일치하도록 정해져 있다.
- = 0이 되는 전 복사 플럭스 을 = 2.518 021 002 ... × 10-8 W m-2로 정함으로써, 전 복사 플럭스 인 천체의 겉보기 복사 등급은 다음 식으로 구할 수 있다.
:
이 전 복사 플럭스 는 10파섹 거리에 있는 = 0인 등방성 복사원으로부터의 전 복사 플럭스에 해당한다. 이것은 태양의 복사 등급으로 널리 받아들여지는 = -26.832일 때, 같은 결의 B3에서 정해진 공칭 전 태양 복사 (nominal total solar irradiance) = 1361 W m-2와 거의 일치하도록 정해져 있다.
5. 주요 천체의 등급
겉보기 등급 (V) | 절대 등급 (V) | 천체 |
---|---|---|
-26.7 | +4.82 | 태양 |
-12.7 | - | 달 (보름달. 반달은 -10 등급 전후, 개기월식 때도 마이너스 등급이 될 수 있음) |
-12.4 | - | 베텔게우스의 초신성 폭발 시 밝기 (가정) |
-10.0 | - | 이케야·세키 혜성 (1965년) |
-8 | - | 이리듐 위성 (인공 천체)의 플레어 (최대) |
-6.0 | - | 초신성 SN 1054 (1054년) |
-4.7 | - | 금성 (최대) |
-4.7 | - | 국제 우주 정거장 (인공 천체, 최대) |
-4.0 | - | 한낮에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천체의 최소 밝기 |
-3.0 | - | 화성 (최대) |
-2.9 | - | 목성 (최대) |
-1.46 | +1.4 | 시리우스 (태양 제외, 전천에서 가장 밝은 항성) |
-0.74 | -5.6 | 카노푸스 (전천에서 두 번째로 밝은 항성) |
-0.4 | - | 토성 (최대) |
-0.05 | -0.3 | 아크투루스 |
+0.01 | +4.4 | 센타우루스자리 α별계의 주성 (리겔 켄타우루스,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계) |
+0.03 | +0.6 | 변광성베가 |
+0.91 | -5.2 | 초거성 안타레스 |
+2.02 | -3.6 | 폴라리스 (북극성) |
+3.4 | - | 안드로메다 은하 |
+5.1 | - | 소행성 베스타 (최대) |
+5.5 | - | 천왕성 (평균) |
+5.7 | - | GRB 080319B (가장 밝은 감마선 폭발, 육안으로 보인 가장 먼 물체) |
+6.0 | - | 육안으로 보이는 가장 어두운 항성 |
+7.72 | - | HD 85828 (육안 관측된 가장 어두운 항성) |
+7.9 | - | 해왕성 (평균) |
+12.6 | - | 3C 273 (가장 밝은 퀘이사) |
+13.65 | - | 명왕성 (최대) |
+16.8 | - | 마케마케 (최대) |
+17.27 | - | 하우메아 (최대) |
+18.7 | - | 에리스 (최대) |
+20.5 | - | 세드나 (최대) |
+27.7 | - | 지상 망원경 (스바루 망원경)으로 관측한 가장 어두운 천체 |
+31.5 | - |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는 가장 어두운 천체 |
참조
[1]
논문
Human Contrast Threshold and Astronomical Visibility.
2006-10
[2]
논문
A light history of photometry: from Hipparchus to the Hubble Space Telescope
http://adsabs.harvar[...]
2021-02-08
[3]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true astronomy
https://archive.org/[...]
1739
[4]
서적
The Lord of Uraniborg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5]
논문
On the Telescopic Disks of Stars: A Review and Analysis of Stellar Observations from the Early 17th through the Middle 19th Centuries
2011
[6]
논문
17th Century Photometric Data in the Form of Telescopic Measurements of the Apparent Diameters of Stars by Johannes Hevelius
2009
[7]
서적
Practical Astronomy
Allison
1812
[8]
서적
The Cambridge Concise History of Astronom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9]
서적
A Concise History of Solar and Stellar Physic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4
[10]
웹사이트
Glossary
https://cneos.jpl.na[...]
JPL
2017-11-23
[11]
웹사이트
Seeing stars and planets in the daylight
http://sky.velp.info[...]
2018-05-08
[12]
웹사이트
The astronomical magnitude scale
http://www.icq.eps.h[...]
2020-12-17
[13]
논문
The HST eXtreme Deep Field XDF: Combining all ACS and WFC3/IR Data on the HUDF Region into the Deepest Field Ever
2013-10-21
[14]
웹사이트
Telescopes
http://www.jaymaron.[...]
2017-09-14
[15]
논문
Fundamental stellar photometry for standards of spectral type on the revised system of the Yerkes spectral atlas
http://adsabs.harvar[...]
1953
[16]
논문
Secondary standard stars for absolute spectrophotometry
http://adsabs.harvar[...]
1983
[17]
문서
Jyは放射流束密度の単位で、1 Jy = 10{{sup|-23}}erg{{thinsp}}s{{sup|-1}}{{thinsp}}cm{{sup|-2}}{{thinsp}}Hz{{sup|-1}}
[18]
논문
Evolutionary Tracks for Betelgeuse
2017
[19]
웹사이트
Brightest comets seen since 1935
http://www.icq.eps.h[...]
International Comet Quarterly
2011-12-18
[20]
문서
CalSky Glossary
http://www.calsky.co[...]
[21]
문서
CalSky ISS Brightness(国際宇宙ステーションが[[近地点]]で100%照らされている時)
http://www.calsky.co[...]
[22]
문서
Menzel, Donald H.; and Pasachoff, Jay M., "A Field Guide to the Stars and Planets", 1983 (ISBN 0-395-34835-8). 肉眼で見える唯一の[[小惑星]]。
[23]
문서
Horizons Output for Sedna 2076/2114
https://web.archive.[...]
[24]
웹사이트
What is the faintest object imaged by ground-based telescopes?
http://www.skyandtel[...]
[25]
웹사이트
等級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9-10-03
[26]
웹사이트
ポグソンの式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8-07-02
[27]
논문
Norman Pogson and the Definition of Stellar Magnitude
1968-07
[28]
논문
標準測光システム
https://www.asj.or.j[...]
日本天文学会
1997-01
[29]
논문
Fundamental stellar photometry for standards of spectral type on the revised system of the Yerkes spectral atlas
1953
[30]
논문
Three-Color Observations of 108 Stars Intended for Use as Photometric Standards.
1954
[31]
논문
Magnitudes of Thirty-six of the Minor Planets for the First Day of each Month of the Year 1857
1856
[32]
웹사이트
RESOLUTION B2 on recommended zero points for the absolute and apparent bolometric magnitude scales
https://www.iau.org/[...]
IAU
2015-08
[33]
서적
極・宇宙を解く
恒星社厚生閣
2020-02-10
[34]
서적
極・宇宙を解く
恒星社厚生閣
2020-02-10
[35]
논문
The north polar sequence
1917
[36]
웹사이트
見かけの等級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8-03-12
[37]
웹사이트
絶対等級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9-09-16
[38]
웹사이트
測光システム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9-08-25
[39]
웹사이트
実視等級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9-10-03
[40]
웹사이트
写真等級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8-03-08
[41]
웹사이트
実視絶対等級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8-03-09
[42]
웹사이트
AB等級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9-02-05
[43]
웹사이트
ベガ等級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8-03-12
[44]
웹사이트
放射等級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8-03-12
[45]
서적
7 恒星
日本評論社
2010-05-30
[46]
웹사이트
距離指数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18-03-11
[47]
논문
Secondary standard stars for absolute spectrophotometry
[48]
서적
15 宇宙の観測 I - 光・赤外天文学
日本評論社
2017-11-15
[49]
웹사이트
Zeropoints
https://www.stsci.ed[...]
宇宙望遠鏡科学研究所
2020-05-07
[50]
웹사이트
COMMISSION 20: POSITIONS AND MOTIONS OF MINOR PLANETS, COMETS, AND SATELLITES (POSITIONS ET MOUVEMENTS PES PETITES PLANETES, PES COMETES ET PES SATELLITES) Report of Meetings, 21, 23, and 27 November 1985
https://www.cambridg[...]
国際天文学連合
1985-08-01
[51]
간행물
The H and G magnitude system for asteroids
https://www.britastr[...]
2007-12-01
[52]
간행물
特集「チェリャビンスクイベントと天体衝突リスク」 - 「スペースガード」とは何か
https://www.wakuse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